서론

드디어 사내 개발 환경을 도커(Docker) 기반에서 온프레미스 쿠버네티스(On-premise Kubernetes) 클러스터로 전환할 기회를 얻었다. 지난 몇 년간 쿠버네티스 전환의 필요성과 근거를 제시해왔고, 드디어 승인을 받아냈기에 내게는 아주 의미가 컸다.

어렵게 얻은 기회인 만큼, 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쉽고 안정적인 클러스터 환경을 구축하여 쿠버네티스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다짐했다. 주어진 시간은 단 4개월, 혼자서 모든 것을 완수해야 했다.

과거 경험과 새로운 목표

사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3년 전에도, 그 이후에도 몇 차례 구축해본 경험이 있었다. 그때마다 시간적인 촉박함이나 지식의 한계 등으로 매번 아쉬운 점이 남았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기도 했다.

그동안 제대로 다루지 못했던 기술 스택과 구조들을 마음껏 적용해볼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었다.

이 시리즈에 대하여

이 시리즈는 그 4개월간의 여정을 담은 기록이다. 클러스터를 설계하며 했던 깊은 고민의 흔적,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해결했던 과정, 기술을 선택하며 내렸던 결정의 이유들을 정리했다.

이 기록이 비슷한 도전을 하는 다른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아마 미래의 내가 될 가능성이 높겠지만 말이다.

목차

1. 사전조사

작성일제목
2025년 03월 16일Kubernetes CRI 선정
2025년 03월 30일클러스터링 도구 선정
2025년 04월 01일CNI 구현체 선정
2025년 04월 03일CSI 구현체 선정
2025년 04월 03일컨테이너 레지스트리 선정
2025년 04월 05일Ingress VS Gateway API
2025년 04월 07일배포 도구 선정
2025년 04월 09일Ansible 기본 알아보기
2025년 04월 16일CI 도구 선정
2025년 04월 25일오퍼레이터 패턴 알아보기
2025년 04월 25일Helm 차트 템플릿 선정
2025년 06월 30일관측가능성 스택 선정

2. 클러스터링

작성일제목
2025년 07월 22일클러스터 구조

3. 네트워크 구성

4. 스토리지

5. 지속적 통합 & 배포

작성일제목
2025년 07월 16일CICD 순서도

6. 관측가능성

작성일제목
2025년 04월 29일자바 로그 수집 설정
2025년 07월 16일관측가능성 시스템 구조

7. 인증 & 인가

작성일제목

8. 오프라인 설치

0. 트러블슈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