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아래 내용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일 뿐 정답이 아니다!

투자 원칙

  • 가급적 개별 주식 보다는 지수 추총 ETF 지향
  • 매수 타이밍을 찾지 않고 매월 같은날 적립식 매수 (월급날)
  • 분기별로 리밸런싱
  • 배당수익은 재투자
  • 미장 직투의 경우 해마다 공제한도(250만) 이내로 매도 후 재 매수 해주기

계좌별 투자 순서 및 금액

절세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펀드, IRP, ISA 에 설정된 금액만큼 투자를 진행하고 이후 남은 금액은 직접 투자하는 식으로 투자한다.

  • 연저펀1 (세액공제) : 300만
  • 연저펀2 (세액공제) : 300만
  • IRP (세액공제) : 300만
  • 연저펀3 (비공제) : 900만
  • ISA : 2,000만
  • 종합매매 : 남은 금액

연금저축을 3개로 나눈 이유는 연금계좌를 몇 개 개설할까에 써두었다.

포트폴리오 구성

전반적으로 배당성향보다 성장위주로, 안전보다는 리스크를 조금은 감수하며 자산을 증식한다는 목표로 구성해보았다. (추가로 양심상 약간의 헷징과 다양성을 가미하여..)

전체

현재 시점에서 생각한 포트폴리오 구성은 다음과 같다.

  • S&P500 - 40%
  • 나스닥100 - 30%
  • 배당주 - 20%
  • 채권 - 5%
  • NIFTY50 - 5%

미국 성장(S&P, 나스닥)에 70% 비중은 고정적으로 가져가고 배당, 채권 기타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품은 시기에 맞춰서 조금씩 조절할 생각이다. 이후 은퇴시점에 점차로 성장주 비중을 낮추고 배당, 채권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 할 생각도 있다.
위의 종목들 중 운용사에 따라 여러 상품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이때는 총비용, 시총 및 거래량, 수익률을 보고 종합적으로 맘에 드는 상품을 선택했다.

연금저축펀드&ISA (국내상장 해외 ETF)

  • S&P500 - 40%
  • 나스닥100 - 30%
  • 미국배당다우존스 - 20%
  • NIFTY50 - 10%

IRP

IRP 계좌에도 성장형 ETF 투자를 고려했으나 안전자산 비율을 맞추기 귀찮을 것이라는 판단에 채권형 ETF 종목을 담았다.

  • S&P500
  • 나스닥100
  • ACE미국S&P500채권혼합
  • 미국30년국채액티브(H) - 100%

해외 직접 투자

해외 직접투자의 경우 아래 상품들을 선택했다.

  • SPLG(S&P500)
  • QQQM(나스닥100)
  • SCHD(성장배당)
  • BND(채권)

기타

  • 하락장을 대비해 일정 금액 현금 보유
    • 추가 매입 및 비상금 용도
  • 퇴직연금 DC 형은 예금형 상품으로 리스크 관리